작성자 l
이원철 [oioi7i123] 등록일 l 13-03-05 13:51조회 l 209
사무실에서 옥신 각신 말이 많아 멘사님들 명쾌한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ㅠ..ㅠ 답 좀 해 주세요..자존심 상하네 우이씨
이원철 [oioi7i123]
13-03-05 14:00
간단한 원리로 주민 번호 뒷자리는 1,xxx,xxx~9,999,999이므로 인구를 오천만 이라 보고 50,000,000/8,999,999 하면 개인당 뒷번호 같은 사람이 5.56 명 정도 되지 않을까요? 단순한 산수로 적어 봅니다
이원철 [oioi7i123]
13-03-05 14:07
물론 출생신고 지역 기준이므로 강원도 쪽은 뒷자리 일 치 확률이 낮을것이고, 서울 쪽은 일치 확률이 높을 것이고, 1900년 대 태생이면 일치 인원이 1,xxx,xxx~2,999,999 이므로 1,999,999/50000000 이면 25명 정도 일치 하는 사람이 나오는데
제 판단이 맞는건가요?
이현도 [hotsword27]
13-03-09 23:22
주민등록번호는 자리별 규칙이 있습니다.
뒤의 일곱자리를 자리별로 ABCDEFG라고 이름지으면,
A는 성별과 태어난 년도, 외국인여부 (19xx년생은 남성은 1, 여성은 2, 20xx년생은 남성은 3, 여성은 4, 외국인은 5,6,7,8)
BCDE는 지역번호.
F는 같은 성씨가 등록된 순서입니다.
G는 오류검증 번호로 앞의 여섯자리를 포함해 총 12자리의 숫자를 특정한 규칙으로 계산해서 나오는 숫자입니다.
하나씩 보죠.
A의 경우 19xx년생 한국인으로 한정지었을 경우 약 50%의 확률로 일치합니다.
사무실에서 얘기가 나온걸보면 19xx년생일테니, 18xx년생과 20xx년생과 외국인은 일단 제외하도록하죠.
인터넷 검색을 통해 2012년 연령별 인구수를 보니, 전체합이 약 5000만명, 0~9세가 약 466만명입니다.
여기서 19xx년생이 4500만명정도 존재할꺼라 생각할 수 있겠네요.
BCDE의 경우 인터넷으로 동사무소/면사무소 등의 개수를 검색해보니 약 3500개가 존재하네요.
동사무소당 인구수에 따라 다르겠지만 평균적으로 따지면 1/3500로 일치한다고 어림계산 가능할듯합니다.
실제로 인구가 많은 경우 이에 비례하여 동사무소가 많으니 큰 차이는 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F의 경우 조금 어렵네요.
성씨별로 선착순으로 번호가 매겨지기때문에 1이 제일 많습니다.
F가 1이냐, 2냐, 3이냐에 따라 자신과 같은 뒷자리를 가진 사람이 존재할 확률이 다르긴하겠지만
검색결과 대체로 4이상의 숫자는 드물어서 조작된 번호로 의심받는다고 하니 3까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평균적으로 1/3확률로 일치한다고 어림계산가능할듯합니다.
G의 경우, 각 자리별 가중치 곱해서 더한 후, 이를 10으로 나눈 값이 됩니다.
ABCDEF가 모두 같다면 앞의 6자리에서 결정됩니다.
년도는 고르게 분포되지만 달과 일의 두번째자리수는 고르지않아 약간의 편차는 존재할듯 합니다.
하지만 '평균'이 궁금하다면 결국 1/10확률로 일치한다고 어림계산 가능하겠죠.
계산해봅시다.
19xx년 기준으로 보면, 4500만명 * 1/2 * 1/3500 * 1/3 * 1/10 = 214.3명 입니다. 약 214명 정도 일치하겠네요.
다른 자리의 경우 결국 확률이 엇비슷하겠지만, 뒤에서 두번째자리가 1일 경우 214명보다 더 많을테고, 2,3의 경우 더 적을꺼라 추측가능합니다.
대표자 : 송필재
사업자번호 : 617-82-77792
06777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스파크플러스 B207 (논현동, 리스트빌딩)
TEL 02_6341_3177
FAX 02_3445_3177
copyright 2021 Mensa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