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자체가 열을 수반하고 있지요..
복사열.. 이라는 형태로 빛에 들어있는 에너지라고 생각하심 되요.
이재호 [bobbyfischer]
11-09-05 23:05
갑자기 궁금하네요;;
그렇다면
(물체) <- [[[[[[급속냉각]]]]]]] <-빛
이라면 빛 자체가 열을 빼앗겨서
차가운 빛이 될려나??
이용춘 [careful]
11-09-06 01:06
복사열은 파장이 열로 변하는 에너지로 알고 있습니다.
복사선이라고도 할겁니다.
즉,
해당 파장이 흡수될 수 있는 조건에서 발열이 일어나며
차가운 유리를 통과한 복사선이 유리 뒷편의 검은색 천에 흡수되면
비로소 검은색 천에서 열이 납니다.
대류로 일어나는 열과는 많이 틀리죠....
.... 라고, 댓글을 달고있긴 한데
틀린부분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틀린곳 있으면 아랫분이 정정해 주실겁니다. ^^
이준섭 [wnstjqldl]
11-09-06 21:20
온도의 변화는 분자 단위의 운동이고, 빛은 광자 단위이죠.
온도가 높으면(분자의 운동이 활발하면) 빛이 굴절 되거나(아지랑이) 할 순 있지만 광자가 통과하죠, 온도가 낮을 때도 당연히 그렇구요. 그렇게 통과한 광자들은 어딘가에 부딪쳐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겠죠. 고로 광자가 통과하면 열은 발생된다는?
급속냉각해도 빛이 통과하겠죠?
유민호 [jiukyoo12]
11-09-06 22:25
근데 빛이 통하는상태에서 빛을 급속냉각시키는건 어떻게하나요 ..? 일반인의 관점으론 도저히 이해가안가는데;;그게 된다면 사람이 빛을 잡아두고 쓸수있다는건가요?
이상진 [bb20000]
11-09-07 10:47
열기라는것은 태양빛의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에 적외선 부분에 해당하는것이구요(굳이 딱 나눈다면요)....
따라서 전자기파의 형태이며, 태양에서 오는 빛 중 우리가 볼 수 있게 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은 동시에 같이 옵니다.
그래서 해가 지면 가시광선과 적외선 모두 도달하지 않기때문에 (가시광선은 회절, 반사, 공기중의 산란등으로 해가져도 남아있습니다만) 어둡고 추워집니다..
정지훈 [othello]
11-10-19 10:39
빛이 태양에서 지구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말이죠?
그렇다면 그 시간이 예를들어 5분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럼 우리는 해의 5분전 과거의 모습을 보는것이죠.
해가 진다는 것 자체도 5분전에 져버린 과거의 해의 모습을 보는 것이겠죠
대표자 : 송필재
사업자번호 : 617-82-77792
06777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스파크플러스 B207 (논현동, 리스트빌딩)
TEL 02_6341_3177
FAX 02_3445_3177
copyright 2021 Mensa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