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과연 어떻게 해석 해야 할까요. 제 생각에는 수학은 하나의 언어로써 저것 또한 하나의 논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최상준 [hamonic]
11-12-16 13:33
읭.ㅋㅋ
x제곱=(x+1)제곱? 그러므로 x=x+1 복부호는 생략??
답을 생략???
x제곱=(x-1)제곱 그러므로 x=x-1 <또는> -x=x-1이겠죠.
시작은 2x=1 이었고
실수체계는 역원이 존재하므로 x는 유일하게 존재해야하니까
x=x+1 또는 -x=x-1에서 하나만 맞아야 하잖아요.
하나가 성립하면 다른 하나는 성립하면 안되고,
하나가 성립하지 않으면 다른 하나는 반드시 성립해야하는 거죠.
그리고 애초에 방정식의 개념을 이해할 때,
방정식의 해가 없는 경우도 있다는 걸 유념하셔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방정식과 항등식의 차이죠.
0=-1이라는 결론을 얻은건
방정식을 풀다가 갑자기, 그걸 항등식라고
(암묵적으로) 가정하셨기 때문입니다.
기초적인 수학적 오개념이네요.
송민 [thdals7]
11-12-16 17:42
그렇다면 모든 식을 할때에는 가정이 필요하다는 말씀인거군요. 충분히 숫자도 미지수가 가능 하다는 거니깐요.
그렇다면 그렇게 생각 해보면 어떨까요.
(2x=2 그러므로 x=1.x=x다 라는것은 결국 x=1다 라고 할 수 없는것과 같은것 아닌가요.)이렇게 말이죠.
송민 [thdals7]
11-12-16 17:49
생각해 보니깐 그럼 '방정식으로는 항등식을 만들 수 없어서 그런것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최상준 [hamonic]
11-12-16 18:13
넹넹. 그렇습니다~
2x=2 는 방정식이고,
x=x 는 항등식이죠.
방정식은 어떤 미지수값(때로 없을 수도 있다)에 대해 성립하는 식이고
항등식은 모든 미지수값에 대해 성립하는 식이죠.
x^2+x+1=0을 생각해보는 것이 추가적으로 도움이 되겠네요.
x를 실수라고 한다면, 해가 없고
x를 복소수라고 한다면, 해가 있죠!
하지만 모든 숫자에 대해 위 식이 성립하는 건 아니구요.
뭐 굳이 정의하자면 누군가는!
모든 방정식을 성립하게 하는 숫자를 만드려고 할지도 몰라요!!
하지만 저라면 하지 않겠어요.
왜냐하면 시ㅋ망ㅋ 할거 같거든요!!
모든 것에 대해 성립한다면, 그 숫자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그 숫자로 성적을 매긴다면, 모두가 1등이며 꼴찌일듯.ㅋㅋㅋㅋㅋ)
대표자 : 송필재
사업자번호 : 617-82-77792
06777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스파크플러스 B207 (논현동, 리스트빌딩)
TEL 02_6341_3177
FAX 02_3445_3177
copyright 2021 Mensa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