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거짓. 모순 알 수 없다 중립적이다.??????
작성자 l 최성식 [btd63] 등록일 l 12-01-19 13:51 조회 l 205
 
<보기>
'이 문장은 모순이다.'
 
위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참인 문장이다.
B. 거짓인 문장이다.
C. 모순인 문장이다.
D.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는 문장이다.
E. 참 거짓에 대해 중립적인 문장이다.
F. 보기 중에 답 없음ㅋㅋ
 
 
자작인지라 답을 말할 때 출제자의 사고가 워낙 단순하고 출제자가 또 워낙 무지한지라 이상한 걸 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 때 전 돌이킬 수 없겠지만 참고해주세요
 
덧붙이는 말 : '이 문장은 참이다', '이문장은 거짓이다.' '이문장은 참 거짓을 알 수 없다.' '이 문장은 참 거짓에 대해 중립적인 문장이다'는 각각 어느 보기에 해당하는지를 알아내는 것도 재미있...을까요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이재호 [bobbyfischer] 12-01-19 20:41
 
모순이라는 정의에 적합하지 않는 문장인것 같은데요? 고로 F
이준섭 [wnstjqldl] 12-01-20 10:42
 
저기서 "이 문장" = '이 문장은 모순이다' 입니다. 고로 '이 문장은 모순이다'라는 문장은 모순이다' 라는 문장은 모순이다.......이런 식으로 무한하게 논리가 증식? 한다고 생각해요. 이 문제의 보기가 "무한한 직선"이라면 모순이라는 정의는 "원"일겁니다. 그래서 답은 B라고 생각합니다. 직선을 원이라고 했으니까요.

덧붙이는 말의 문장들도 전부 거짓이라고 생각합니다. 설명하자면 저 문장들은 직선을 점이라고 말하는듯 하네요.

다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ㅎㅎ...
이준섭 [wnstjqldl] 12-01-20 10:50
 
아 논리의 문제니까 D나 F여야 될 것도 같군요. 뭐 이래 ㅎ
서재민 [sjm4976] 12-01-21 14:53
 
제 생각에는 F일 것 같아요..

모순이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즉 참이면서 거짓이란 결과가 나오는 경우이니까, '이 문장은 모순이다'라는 문장은 참이면서 거짓인 경우죠.
그렇게 되면 거짓인 경우와 참인 경우를 나눠서 생각해봅시다.

먼저 거짓인 경우를 생각해보면, 그럼 반대문장인 '이 문장은 모순점이 없다'가 참이란 소리죠. 여기서 이 문장이 모순점이 없다고 '이 문장이 모순이다'라는 문장이 무조건 참인 것은 아니므로, 참일수도 있고 거짓일수도 있는거죠. 그런데 이미 거짓인 경우라고 한정했으니까 거짓은 맞는 것이고, 그 다음 참일수도 있고 참이 아닐수도 있으니까 참과 거짓이 공존하는 모순일 수도 있고 그냥 거짓일수도 있는겁니다.

그 다음 참인 경우, '이 문장은 모순이다'가 참이 되어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참과 거짓으로 다시 나뉘어지는 반복되는 꼴이니까 결국 무한대까지 가서 보면 결국 거짓인 경우가 참인 경우를 덮어버리므로 거짓인 경우만 생각하면 됩니다.(아 하지만 참인 경우가 거짓이거나 모순이라는 말은 아닙니다.)

그럼 거짓인 경우만 다시 보면 결론은 모순일 수도 있고 그냥 거짓일 수도 있으니까 정답은 두개인 것이죠. 그러니 참인 문장이라는 A는 절대 될 수 없고, 모순이거나 거짓이니까 답은 F인건가...? 답이 두개가 될수도 있다면 B, C죠.

계속 생각하다보니까 꼬이고 꼬여서 잘못된 길로 빠진 걸수도 있어요ㅎㅎ
서재민 [sjm4976] 12-01-21 14:56
 
아 아니다, 참인 경우에서 다시 참과 거짓으로 나뉘어 질때 거짓으로 나뉘어지면 참과거짓이 공존하니까 다시 모순이 되므로, 이 때는 참이거나 모순이 되네요....

그럼 결국 결론은 참인 문장일수도 있고 거짓인문장일수도 있고 모순인문장일수도 있게 되어 답이 3개가 되는건가...
임재광 [limkong] 12-01-24 15:37
 
러셀의 역설 같은데 어떤것을 가정해 도 결론이 모순에 도달하는..
강성민 [psychitect] 12-01-25 22:13
 
예전에 이 비슷한 얘기 생각나네요.
한 탐험가가 원주민 부족의 영역에 함부로 침범하여 잡혀갔는데 그 부족 추장이
마지막 유언을 하되 그것이 참이면 불에 태워 죽일 것이고 거짓이면 물에 빠트려 죽일 것이다 하여
탐험가는 나는 곧 물에 빠져 죽을 것이다 라고 해서 추장 멘탈을 붕괴시켜 탈출했다는 이야기.
     
조현근 [hungry1155] 12-01-26 01:48
 
탐험가가 나는 곧 물에 빠져 죽을 것이다  라고 말했을때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생각해서 미래에 모순적인 말이 될 것이다 라고 생각하지 말고

이것은 미래를 예측한 것이므로 참 거짓과 상관없는 말이 되고
부족 추장의 유언의 제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탐험가의 처분은 남은 원주민의 손에 달려있게 되는거죠.

내가 원주민이라면 탐험가가 말장난 한 대로 일단 물에 빠뜨려 죽이고
탐험가가 말한 물에 빠져 죽은게 참이 되었으므로
죽은 전 부족 추장의 말을 받들어
불에 한번 더 태워 죽이겠죠.

'그것이 참이면 불에 태워 죽일 것이고 거짓이면 물에 빠트려 죽일 것이다' 라는
전 부족 추장의 유언의 뜻은 '쩔쩔매다가 죽게해라' 일테니 죽은 추장도 좋아 하겠죠.
박준연 [3735943886] 12-01-27 11:36
 
모순 (contradiction)의 정의를 살펴보면, "두 개의 명사(名辭)나 명제간(命題間)에서 동일한 요소를 동일한 관점에서 동시에 한편이 긍정하고 다른 한편이 부정할 때 이 양자간의 관계 - [출처] 모순 [矛盾, contradic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즉, 하나의 문장은 모순일 수 없습니다. (두개의 문장 필요)
답 : B
이유상 [yoosanglee] 12-02-06 14:34
 
답은 B 거짓이죠.

모순은 없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2236    두번째요. 이렇게 수정하면 가능할까요? (1) 우건식 12-02-06 77
12235 12235번 문제에 덧붙여... (1) 조상진 12-01-30 131
12234 한번만더...ㅠㅠ (2) 김미숙 12-01-28 139
12233 맞출 수 있으면 맞춰보셔염 (12) 신봉걸 12-01-27 295
12232 지구는 둥근데 직선은 어떻게 산출하나요? (8) 조은상 12-01-23 224
12231 이 질문에 대답 해 보세요 (5) 박세훈 12-01-21 233
12230 두 숫자만 사용한 자연수의 합 표현 (5) 최성식 12-01-20 158
12229 번호 문제?... (1) 김미숙 12-01-20 181
12228 비둘기비둘기비둘기 (2) 최성식 12-01-19 183
12227    비둘기비둘기비둘기 다시설명 (답아님!!) (6) 최성식 12-01-20 93
12226 참. 거짓. 모순 알 수 없다 중립적이다.?????? (10) 최성식 12-01-19 206
12225    참. 거짓. 모순 알 수 없다 중립적이다.?????? 시범풀이 (3) 최성식 12-01-25 72
12224    참. 거짓. 모순 알 수 없다 중립적이다.?????? (1) 유정곤 12-02-06 27
12223 과정과 번호 문제... 김미숙 12-01-18 131
12222 숫자 문제3... 김미숙 12-01-18 144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대표자 : 송필재
사업자번호 : 617-82-77792
06777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25 스파크플러스 B207 (논현동, 리스트빌딩)       TEL 02_6341_3177       FAX 02_3445_3177
copyright 2021    Mensa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