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생각에는 바꾸든 바꾸지 않든 1/2 입니다.
문제내용은 위 주소에 있습니다.
바꿨을 때 |
자동차(문1) |
염소1(문2) |
염소2(문3) |
바꾸지않았을때 |
1. 짐 |
선택 |
공개됨 |
비공개 상태 |
이김 |
2. 짐 |
선택 |
비공개 상태 |
공개됨 |
이김 |
3. 이김 |
비공개 상태 |
선택 |
공개됨 |
짐 |
4. 이김 |
비공개 상태 |
공개됨 |
선택 |
짐 |
나올수없는경우 |
공개됨 |
비공개 상태 |
선택 |
나올수없는경우 |
나올수없는경우 |
공개됨 |
선택 |
비공개 상태 |
나올수없는경우 |
위의 표 처럼 문 3곳에 [자동차/염소/염소] 순으로 있다고 가정합시다.
총 6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오는데 여기서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두개의 문 중에서 염소가 있는 방을 공개한다.'고 하여 자동차를 공개하는 경우는 없으니 5번과 6번은 '나올수없는경우'로 제외시켰습니다.
그리하여 가능한 경우의 수는 표에 있는 1,2,3,4번 밖에 없습니다.
4가지의 경우의 수는 똑같이 반반입니다.
여기서 1번과 2번, 그리고 3번과 4번은 같은겁니다. 만약에 다르다고 주장 하더라도 확률은 1/2 그대로입니다.
같은 이유는 염소나 (문)의 위치나 장소가 중요한것이 아니고 이기느냐 지느냐의 확률이 중요하기 때문이죠.
염소1과 염소2는 같은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1번과 2번의 상황에서 염소가 (문2)에 있든 (문3)에 있는 상관이 없습니다. 선택되지 않는 다른 곳에 염소가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지요.
3번과 4번 또한 선택한 곳이 염소가 아니라는 것이 중요하지요.
솔직히 지금 저도 뭐라고 말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마치 존재하지 않는 3면체의 부피를 설명하는 것 같군요.
더 쉽게 설명하자면
첫번째 경우와 두번째 경우와 세번째 경우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두번째 경우와 세번째 경우는 한가지의 경우로 서로 같다고 보아야 합니다.
저것을 다르게 분리하여 생각해서 확률이 2/3으로 생각된것 같은데, 저 두개가 같다고 보면 1/2확률로 줄어들게 됩니다. 뭐라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깊게 생각해보면 같다는걸 알게 됩니다.
아.. 지금 잠을 안자고 밤새서 그런지 원래 설명을 잘 못하는진 몰라도 아무튼 이렇습니다..
외국에서도 저 문제가 옳다고 사람들이 생각합니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저건 오류가 있습니다.